2025년 청년·신혼부부 맞춤형 주거정책 총정리
집값과 전세값, 월세까지 부담되는 요즘, 정부와 지자체에서는 청년과 신혼부부를 위해 다양한 맞춤형 주거지원정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2025년 9월 기준, 실제 신청 가능한 주요 주거 정책을 청년과 신혼부부 중심으로 한눈에 정리해드립니다.
🏘️ 1. 신혼부부 전세임대 (LH)
- 내용: LH가 집주인과 전세계약 → 신혼부부는 저렴한 임대료로 거주
- 보증금 한도: 수도권 최대 1억 2천만 원 / 지방 최대 9천만 원
- 자기부담금: 시세의 30% 수준
- 대상: 혼인 7년 이내 / 예비 신혼 / 자녀 있는 가구
- 신청: LH청약센터 (apply.lh.or.kr)
🏠 2. 청년 월세 특별지원 (국토교통부)
- 지원 내용: 월 20만 원 × 최대 12개월 (총 240만 원)
- 대상: 만 19~34세 / 보증금 5,000만 원 이하 + 월세 70만 원 이하
- 소득 기준: 중위소득 60% 이하
- 신청 경로: 복지로 (www.bokjiro.go.kr)
🏡 3. 청년 매입임대주택 (기존주택 제공)
- 내용: LH가 기존주택을 매입해 시세보다 저렴하게 임대
- 임대료: 시세의 30% 내외 (지역·주택 유형 따라 다름)
- 대상: 취업준비생, 사회초년생, 대학(원)생 등
- 계약기간: 최초 2년 → 최대 6년까지 재계약 가능
🏙️ 4. 서울시 청년월세 지원
- 지원금: 월 20만 원 × 최대 10개월
- 대상: 만 19~39세 서울 거주 청년 / 중위소득 120% 이하
- 신청 방법: 서울주거포털 (housing.seoul.kr)
🌇 5. 경기도 청년·신혼 주거비 지원
- 청년 월세 지원: 월 15만 원 × 12개월
- 신혼부부 전월세 이자지원: 연 최대 2% 이자지원 / 대출한도 최대 1억 원
- 거주지에 따라: 수원·고양·용인 등 개별 사업 운영 중
👥 신청 시 자주 묻는 질문
- Q. 국가 + 지자체 지원 중복 가능할까요?
→ 일부 지역은 중복 불가, 일부는 가능. 공고문에 반드시 표기됨. - Q. 무주택이어야 하나요?
→ 대부분 정책은 무주택 세대주 조건 포함 (1인 가구 포함) - Q. 신청 시기 놓치면?
→ 연 1~2회 정기공고이므로 알림 신청 필수
✅ 마무리
신혼부부와 청년을 위한 주거지원정책은 매년 새롭게 발표되거나 조건이 달라지고 있습니다.
2025년 현재도 주거비 부담을 줄이고 안정적인 거주를 지원하는 다양한 제도가 운영 중이니,
본인의 나이 · 소득 · 지역에 맞는 정책을 잘 확인해보시고 신청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현명한 청약과 주거 준비는 오늘의 작은 검색에서 시작됩니다. 🏠